일자리 지원 청년과 장애인 위한 예산 확정!
2025년도 고용노동부 예산 계획
고용노동부는 2025년도 예산을 통해 일·가정 양립, 노동약자 보호, 청년고용 지원 등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육아휴직급여를 인상하고, 노동약자를 위한 지원에 160억 원을 투입하여 일터 개선과 불법 및 부당한 관행 개선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졸업생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을 신설하며 대학 및 고등학교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고용부의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될 수 있도록 신속한 집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다짐도 함께했습니다.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 강화
고용노동부는 일·가정 양립을 실현하기 위해 출산 및 육아 시 활용할 수 있는 근로시간 단축, 휴가 및 휴직 지원을 대폭 확대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한 예산으로 모성보호육아지원에 4조 225억 원이 편성되었으며, 고용보험 미적용자에 대한 출산 급여도 증가할 것입니다. 대체인력 지원금이 신설되며 육아휴직에 대한 대체인력 및 동료 업무 분담 지원도 확대될 계획입니다. 이러한 지원은 개인과 가족이 더 나은 생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모성보호육아지원에 1조 5256억 원 추가 지급
-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에 대한 대체인력 지원 확대
- 직장 어린이집 지원 프로그램 신설
노동약자 보호 및 권리 강화
이번 예산에는 노동약자 보호를 위한 사업이 포함되며, 이음센터의 확충과 교육 프로그램 강화를 위해 160억 원이 allocating 됩니다. 임금 체불 및 생계곤란 등 노동약자에 대한 권리구제를 강화하며, 이들이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대지급금이 10만 5000명에게 5293억 원을 책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노동약자 지원을 늘려 나갈 계획입니다.
산업재해 예방 및 근로자 안전 보장
고용부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50인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안전 관리 체계 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 일환으로 사고성 재해 집중 관리 및 민간 기술지도를 위한 예산으로 647억 원 등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또한, 화학사고 및 재난 예방을 위해 180억 원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은 모든 지원 정책의 최우선 과제입니다.
고용서비스 혁신을 통한 구직자 지원
고용부는 구직자들이 보다 쉽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고용서비스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통합 네트워크 구축 및 프로그램 강화를 통해 구직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특히 디지털 기술 활용하여 AI 기반의 고용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매칭률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출 것입니다. 디지털 기반의 고용지원 시스템은 구직자와 기업의 연결을 보다 원활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
청년을 포함한 다양한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강화될 것입니다. 재학생부터 졸업생까지 맞춤형 상담 및 훈련을 제공하고, 구직단념을 예방하는 프로그램들을 신설하여 활용할 것입니다. 고용부는 특정 예산으로 새로운 지원사업을 계획하는 한편, 실무 경험을 통해 취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일경험 지원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중장년층과 장애인 고용 지원 강화
중장년층의 계속고용 및 재취업을 위해 다양한 장려금을 개편하고, 고령자 계속고용 장려금에 357억 원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장애인 고용장려금 확대 및 표준 사업장 도약 지원형도 신설하여 다양한 일자리 확대 사업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특히 모든 계층이 차별받지 않고 동등하게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중요합니다.
고용 정책의 방향과 목표
이번 예산 계획은 노동시장의 여러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고용부는 취약계층 보호, 생명 안전 보장, 고용 서비스 혁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을 추진하여 더 나은 노동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비전은 모든 근로자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결론 및 전망
고용노동부가 계획한 2025년도 예산은 한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를 다질 것입니다. 다양한 지원 정책이 실제로 노동자와 구직자들로 하여금 느낄 수 있도록 실현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상황에 따라 늘어나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것입니다. 협력과 소통을 통해 더 나은 고용 환경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