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산업 확산 휴모노이드 로봇 개발 진전!
AI산업정책위원회 개최 배경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1월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제3차 AI산업정책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안덕근 장관을 비롯해 한국공학한림원 전·현 회장, AI산업정책위원회 위원 및 관련 기업 전문가 등 130여 명이 참석하여 유의미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위원회에서는 민간의 다양한 제안을 발표하고 산업 AI의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의 AI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중요한 스텝이 될 것이다.
AI 기술 및 산업 과제 발표
회의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산업의 혁신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특히 자율제조 분야의 민관합동 선도 프로젝트가 주목받았다. AI를 접목한 자율제조 프로젝트는 누적기준으로 올해 말까지 60개, 2027년까지 200개를 선정할 계획이다. R&D, 디자인,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적용하여 제조업의 혁신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 민관 합동으로 AI를 활용한 자율 제조 선도 프로젝트 추진.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AI 에이전트 시스템 개발.
- 피지컬 AI의 상용화를 위한 로봇 및 자율주행차 개발 전략.
AI 인프라 구축 및 지원 방안
AI 산업의 성장을 위해 기업용 산업 AI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와 연계한 데이터 센터 및 시험 인증 설비를 구축하여 기업의 AI 연구와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더 나은 비교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 데이터 활용 방안
산업부는 기업이 데이터를 자율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 데이터 은행 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 제도는 기업들이 수행하는 데이터 큐레이션 산업을 더욱 활발하게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산업의 혁신을 도모하게 된다.
AI 반도체 및 교육 강화
AI 반도체 개발 사업 지원 | 차세대 패키징 기술 개발 | AI 전공 융합 교육 프로그램 확대 |
AI 반도체와 관련한 기술 개발은 AI 산업의 도약에 필수적이다. 산업부는 AI 반도체의 제조에 필요한 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AI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AI를 적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늘어날 것이다.
AI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
산업부는 AI 투자 촉진을 위해 산업 AI 기금을 조성하고, 기업 주도형 벤처 캐피털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AI 관련 해외 우수인재 및 첨단 기술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법령 및 제도 확산 계획
산업 AI 제도를 확산하기 위해 법령과 제도를 설계하고 지원 체계를 강화하면서,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개정 및 산업 AI 활용 촉진 법 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AI 표준 리더십 구축과 민관 거버넌스 강화를 통해 산업 AI에 대한 지원 조직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는 AI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AI 산업의 미래 전망
안덕근 장관은 회의 후 "AI 산업은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성공사례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AI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우리 산업의 미래를 밝히는 중요한 카드를 제공할 것이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전문가 및 기업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AI 시대의 산업 정책을 진화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및 저작권 안내
AI 산업정책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산업인공지능혁신과(044-203-4132) 및 산업정책과(044-203-4212)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 브리핑의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나, 저작권이 있는 사진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사용 출처 표기를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관련 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