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융합특구 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변화 예고!
도심융합특구의 개요
정부는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다섯 개의 광역시를 도심융합특구로 지정하여 지방의 혁신 성장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을 밝혔다. 도심융합특구는 산업, 주거,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복합 혁신 공간을 조성하여 기업 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이는 지방 대도시 도심의 발전을 촉진하고,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판교형 테크노밸리를 조성하는데 중점을 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특구 지정과 계획 승인 과정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9일 도시개발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5개의 광역시를 도심융합특구로 지정하고, 발빠르게 기본계획을 승인하였다. 이러한 결정은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각 지역에서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 도심융합특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유기적 협력이 핵심이다.
- 구체적인 발전 목표를 설정하여 실행 가능한 단계적 계획을 수립한다.
- 지역 주민과 기업의 참여를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제시한다.
지원 사항 및 목표
도심융합특구는 도시 및 건축 규제를 완화하고, 이를 통해 고밀 복합개발을 장려한다. 또한, 국유 및 공유지 사용료 감면, 임시허가, 실증특례 등의 혜택을 입주기업에 제공하여, 협업할 수 있는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청년 지원을 위한 주택 특별공급과 같은 맞춤형 지원도 강화될 예정이다.
부산 도심융합특구 육성 전략
부산 지역의 도심융합특구는 센텀2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스마트선박, 로봇 및 지능형 기계 산업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이는 부·울·경 메가시티의 핵심 공간으로 발전할 것이며, 각 산업의 단계를 세분화하여 체계적으로 육성할 것이 목표이다.
대구 도심융합특구의 혁신 계획
대구에서도 경북대학교와 삼성창조캠퍼스를 중심으로 신산업 혁신거점을 구축할 예정이다. 도심항공교통(UAM), 첨단로봇 및 지능형 반도체와 같은 핵심 산업의 인재육성과 창업 지원에 중점을 두고, 대규모 기업육성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광주 및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산업 중심지
광주 도심융합특구는 상무지구 인근으로 모빌리티 산업을 육성하고, 의료디지털 및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특화된 혁신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대전은 KTX 대전역세권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산업의 확산을 도모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와의 협력을 통해 환승체계 구축에 나설 예정이다.
울산 도심융합특구의 산업 혁신 허브 구축
모빌리티 | 이차전지 | 수소 |
산업 중심지 운영 전략 | 고급 인력 양성 계획 | R&D 센터 구축 |
울산의 도심융합특구는 KTX 역세권과 울산테크노파크를 활용하여 산업 혁신의 발신기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 지역은 모빌리티, 이차전지 및 수소 등의 핵심 전략 산업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도심융합특구의 빠른 진행 상황
기본계획의 승인이 이루어짐에 따라 부산 센텀2 도시첨단산업단지와 대구 캠퍼스 혁신파크는 착공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러한 빠른 추진은 각 지역이 혁신 거점으로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정부의 역할과 향후 방향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도심융합특구 법 시행 6개월 만에 기초 계획을 수립하여 사업 추진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특구 내 연계사업이 조속히 착수될 수 있도록 범부처의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문의 및 추가 사항
정책에 대한 문의는 국토교통부 성장거점정책과로 하시면 되고, 자세한 내용은 정책브리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혁신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은 지역 경제 및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